조경기능사 시험일정 과목 및 정보

조경기능사 시험일정 과목 및 정보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최근 건축되고 있는 집합건물 및 고층건물 설계시 반드시 일정 조경시설 및 공원, 정원수 등을 반드시 설치하도록 의무화 되고 있는 상황에서 조경기능사 자격증의 필요성이 한층 증대되고 있습니다.
조경기능사는 난개발로 인해 대도시를 중심으로 환경파괴가 심화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주거환경의 개선과 생활환경을 아름답게 꾸미고 자연환경을 조성하는데 있어서 각종 현장조사 및 계획의 수립과 시공을 통해 도시 공원 및 녹지의 구본구상과 실시설계, 시공을 통해 결과물을 도출하고 이를 관리하는 직무를 주로 수행합니다.


조경기능사는 1982년 조원기능사 2급으로 자격제도가 시작되어 1998년 이후 조경기능사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매년 꾸준한 인원이 조경기능사 시험에 도전하여 1차시험의 경우 평균 40%대의 합격률을, 2차 시험은 90% 가까운 합격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은 1차 시험에 보다 중점을 두어 준비하신다면 보다 빠른 합격을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조경기능사 시험은 매년 4회에 걸쳐 실시되고 있습니다. 시험은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으로 구분되어 시행되며 이 모두를 통과해야 조경기능사 자격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2020년 2월 28일 필기시험을 시작으로 5월 7월 10월 4회 실시 예정되어 있습니다.
조경기능사 필기시험 출제기준
필기과목명 | 문항수 | 주요항목 |
조경일반, 조경재료, 조경시공 및 관리 | 60 | 1. 조경계획 및 설계 / 2. 조경재료 / 3. 조경시공 및 관리 |
조경기능사 실기시험 출제기준
실기과목명 | 주요항목 |
조경작업 | 1. 지형기반시설 설계 / 2. 조경시설설계 / 3. 식재설계 / 4. 수목식재공사 / 5. 잔디식재공사 / 6. 조경시설물공사 / 7. 조경포장공사 / 8. 실내조경공사 / 9. 정지전정관리 / 9. 초화류관리 / 10. 잔디관리 / 11. 비배관리 / 12. 관수 및 기타 조경관리 |
조경기능사 시험의 출제기준은 위와 같습니다. 필기시험은 총 60문항의 문제를 1시간에 걸쳐 치르게 되며, 실기시험은 작업형 시험으로서 3시간 30분 정도 치르게 됩니다. 조경에 필요한 기초 도면의 시설물, 식재 설계 및 도면을 판독하며, 재료를 식별하고 이용하여 조경시공 작업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치르게 됩니다. 시험수수료는 필기시험의 겨우 11,900원이, 실기시험의 경우 30,400원이 소요됩니다.

조경기능사 자격증 시험에 도전하는 인원이 매년 일정 정도 꾸준하게 유지되고 있습니다. 특별한 큰 이슈 없이 매년 꾸준한 수요가 이뤄지고 있기 때문에 전문 고등학교 출신 또는 각 대학에서 조경학과 또는 원예학과 출신들이 도전하고 있습니다.

오늘도 조경기능사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 각고의 노력으로 시험준비하고 계신 많은 수험생들의 노력을 응원하며, 오늘 제 글이 그런 노력에 미약하나마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모두 최단기간 내에 원하는 자격을 취득하는 결실을 맺을 수 있으시길 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