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투자권유대행인 시험일정 및 정보
오늘은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자격증 중 하나인 펀드투자권유대행인 시험일정 및 정보를 알아보겠습니다.
과거 대부분의 자산을 적금이나 부동산의 형태로 보유했었다면, 현재 대부분의 자산가들은 주식과 펀드 또는 부동산 등 다양한 형태로 자산을 보유함으로써 리스크를 줄여가고 있습니다. 하나의 형태로 자산을 몰빵하는 것은 엄청난 리스크를 감수해야 하며, 특히 최근에는 다양한 펀드를 통해 투자 및 자산보유를 하고 계십니다.
예전 고금리 적금이 자산증식의 주요 수단이었으나, 더이상 그런 상품은 자취를 감춘지 오래되었고 유사한 형태가 그나마 펀드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펀드는 투자의 일종이기 떄문에 잘못된 상품에 가입했다간 오히려 원금마저 손실을 볼 위험성이 있습니다.
이때 필요한 직업군이 바로 펀드투자권유대행인입니다. 펀드투자권유대행인은 집합투자증권의 매매를 권유하거나 투자자문계약, 투자일임계약 또는 신탁계약의 체결을 권유하는 직업입니다. 유사 자격증으로 '펀드투자권유자문인력' 시험이 있습니다만, 이 자격증은 현재 금융업에 종사하는 사람만 응시자격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펀드투자권유대행인 시험은 특별한 응시자격이 없습니다. 연령이나 직종, 학력의 제한이 없기 때문에 누구나 도전이 가능하며 특히 최근에는 대학생들 또는 금융업 종사를 희망하는 사람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자격시험입니다. 특히 여타 금융관련 자격증에 비해 상대적으로 난이도가 쉽기 때문에 큰 인기를 모으고 있습니다.
현재 펀드투자권유대행인 시험은 1년에 2회 치뤄지고 있습니다. 2019년에는 4월과 9월에 9차 및 10차 시험이 치뤄졌고, 2020년 역기 2회의 시험이 치뤄질 예정입니다.
회차 | 시험일 | 접수기간 | 응시지역 | 시험시간 | 결과발표 |
11회 |
03.29 (일) | 03.02~03.06 |
서울, 부산, 광주 대구(03.29) 대전, 제주(09.06) |
10:00~12:00 | 04.09 (목) |
12회 |
09.06 (일) | 08.10~08.14 | 09.17 (목) |
펀드투자권유대행인 시험과목은 총 3과목입니다. 크게 펀드투자, 투자권유, 부동산펀드 과목이 실시되며, 합격기준은 응시과목별 정답비율이 40%이상인 사람 중에, 응시 과목의 전체 정답 비율이 60%(60문항)이상인 자를 합격자로 선정합니다. 즉 각과목 40점 이상이면서 전체 60점 이상을 맞아야 한다는 뜻이며, 바꿔말하면 시험 과목 중 40점 미만이 있다면 전체 60점을 넘어도 불합격된다는 의미입니다.
응시에 특별한 자격제한은 없습니다. 최근에 고등학생들도 이 시험을 준비하는 분들이 꽤 있다는 것으로 보아, 연령이나 학력상의 제한은 거의 없다고 보셔도 무방합니다.
펀드투자권유대행인 시험이 타 금융관련자격증 시험보다 비교적 쉽지만, 그렇다고 결코 시험 자체가 쉬운 시험은 아닙니다. 대부분 독학으로 준비하는 분들이 많으나, 인터넷 강의 등과 제대로 된 교재를 통해 일정기간 열심히 공부하지 않으시면 합격하기가 쉬운 시험은 아닙니다. 특히 과목 성격이 상당히 낯선 내용이 많고, 전문적인 지식을 요구하는 내용이 많기 떄문에, 처음부터 체계적인 학습이 요구되는 시험입니다.
시험에 응시하기 위해서는 인터넷을 통해 접수를 하셔야 하며, 응시료는 위와 같이 전과목은 40,000원이, 3번째 과목만 보시는 분은 16,000원을 지불하셔야 합니다. 또한 시험당일에는 반드시 본인임을 증명할 수 있는 신분증을 필히 지참하셔야 시험을 치르실 수 있다는 점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
지금까지 펀드투자권유대행인 시험일정 및 정보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1년에 두번 치뤄지는 시험이지만 준비하다 보면 1년 1년이 금방 지나가는 것이 시험입니다.최대한 효율적인 방법으로 최단기간내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오늘도 모든 수험생들 화이팅입니다.